성과를 만드는 BAT의 영상 제작 원칙 3가지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지는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눈에 띄는 영상을 제작하고 성과를 달성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제 콘텐츠 제작은 시각적 만족을 넘어, 전략적 기획과 플랫폼 최적화를 통한 소비자와의 진정한 연결을 목표로 해야 하는데요.

잘 만든 영상 콘텐츠는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뿐 아니라, 브랜드의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여 소비자와의 정서적 공감을 이끌어내기도 합니다. 다양한 커버리지의 입체적인 콘텐츠를 통해 차별화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펼치고 있는 BAT. BAT가 제안하는 영상 크리에이티브 전략이 궁금하다면? BAT의 실 제작 사례를 바탕으로 성과를 만드는 영상 크리에이티브 전략 3가지를 지금 만나보세요.

Editor 정성희
Interviewee 미디어제작파트 김다솔 콘텐츠PD, 정효인 모션디자이너, 백지웅 3D디자이너, 이태범 콘텐츠PD


Approach 01
치열한 콘텐츠 경쟁 속, 돋보이는 비주얼

콘텐츠의 한 끗 차이를 만드는 핵심은 단연 강렬한 시각적 경험일 것입니다. 첫눈에 소비자의 시선을 끄는 독창적인 비주얼은 콘텐츠의 성공에 있어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죠. 이때 3D 기술과 창의적 표현 방식은 비주얼의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는 도구가 됩니다. 돋보이는 비주얼은 소비자에게 단순히 ‘좋아 보이는 것’을 넘어 브랜드에 대한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하죠.

3D로 구현한 입체적 비주얼

BAT는 글로벌 호텔 브랜드 <리가로얄 라구나 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브랜드의 정체성과 괌 특유의 이국적 분위기를 전달하는 포트폴리오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제한된 리소스 속에서도 물리적 한계가 없는 3D 기법을 활용해 리가로얄 브랜드만의 매력을 극대화한 몰입감 있는(Immersive) 영상으로 고객의 감각을 자극했는데요. 낮과 밤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담은 타임랩스를 통해 복잡한 움직임 없이도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압도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냈습니다.

>>BAT Rihga Royal Laguna Guam 포트폴리오 바로가기

전통과 디지털 기술의 만남

<원소주> 리브랜딩 영상은 제품 출시 전 3D 모델링 작업을 통해 주요 제품 라인업의 질감과 디자인을 디지털로 완벽히 재현하는 것이 핵심이었는데요. 라벨의 전통적인 자개 질감을 디지털로 재현한 작업은 한국적 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빛의 각도에 따라 반사와 분산이 달라지는 자개의 홀로그램 특성을 고려해 빛의 굴절률과 반사를 계산했고, 이를 반복적으로 조정해 가며 자개의 독특한 광택과 색상을 가장 사실적인 느낌에 가깝게 표현했습니다.

>>BAT 원소주 포트폴리오 바로가기


Approach 02
브랜드, 서비스, 타깃을 이해한 맞춤형 접근

브랜드의 영상 제작은 브랜드와 타깃, 서비스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영상 제작의 목적이 인지 제고인지, 조회수 증대인지, 서비스 유입인지, 판매 전환인지 등에 따라 타깃을 정하고 그들에게 후킹한 메시지과 주제, 스토리텔링을 고민해야 하죠. 또한 영상 콘텐츠는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메시지 전달뿐만 아니라, 감정적 연결을 통해 높은 참여율과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브랜드의 철학과 소비자 니즈를 잇는 기획의 힘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죠.

브랜드 USP의 시각화

<데싱디바>는 제품의 핵심 강점(USP)을 3D 모션 영상으로 제작해 신제품 런칭을 소비자에게 명확히 전달한 사례입니다. 셀프 젤네일의 반경화 과정과 볼륨감, 펄 입자의 반짝임, 그리고 섬세한 구조적 디테일을 구현한 영상은 브랜드의 혁신성을 강조하며 소비자의 공감대를 형성했는데요. 실제 제품을 여러 번 분석하며 제품의 특성을 완벽히 재현하기 위해 노력했고, 수차례 기획을 다듬으며 비주얼과 메시지에 다양한 USP를 담았습니다. 이 영상은 한글과 영문 버전으로 제작되어 글로벌 채널에서도 활용되며, 브랜드의 시장 확장에 기여하기도 했죠.

팬덤과 소통하는 콘텐츠

<멜론>은 팬덤과 소통하는 영상 콘텐츠로 브랜드 가치를 높인 SNS 운영 사례입니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멜론에게 팬덤은 충성도 높은 지지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멜론이 아티스트 IP 기반의 서비스인 만큼 팬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아티스트와의 정서적 연결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특히, 뮤직 웨이브 콘텐츠는 실제 서비스의 채팅 내용을 활용해 아티스트와 팬들이 직접 소통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며 몰입감을 높였고, MMA 콘텐츠는 팬의 시각에서 좋아할 만한 요소를 반영하여 높은 참여율과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멜론의 전당 콘텐츠도 단순 그래프가 아닌 팬덤의 영향력이 지표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는 메시지를 모션을 통해 보여줬고요. 참여를 독려하는 메시지를 추가해 멜론이 팬덤과 아티스트의 연결을 매개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했죠.

>>멜론 인스타그램 채널 바로가기

기술과 경험의 융합

<네이버> SNS는 네이버의 기능을 일방향적으로 설명하기보다, 소비자가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는 듯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기술력과 브랜드의 매력을 전달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특히 네이버 1784의 서비스 로봇, 루키 콘텐츠는 루키의 동선을 따라가는 방식으로, 1784 건물 내에서 이루어지는 기술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며 소비자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부여했는데요. 이는 네이버와 소비자 경험의 연결성을 강조하는 콘텐츠로서, 브랜드 스토어와 스마트폰 테스트룸 등 네이버 내 다양한 체험형 공간의 독특함을 부각시켜, 소비자가 공간을 탐험하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네이버의 혁신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동시에 기술과 감성을 충족시키는 콘텐츠로 평가받았죠.

>>네이버 인스타그램 채널 바로가기


Approach 03
플랫폼과 매체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포맷 최적화는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에서 소비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각 매체와 플랫폼의 특성, 소비자 행동 패턴에 맞춘 기획은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채널 맞춤형 콘텐츠는 참여를 유도하고 소비자와의 연결을 강화하며, 콘텐츠의 도달률과 영향력을 극대화합니다.

사용자 경험 강화

중고ICT기기 플랫폼 <민팃>의 프로모션 페이지를 제작하면서 ATM 기기를 연상시키는 세로형 디자인과 간결한 터치 인터랙션 요소를 결합한 인트로 영상으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습니다. 사용자가 중고폰의 개인정보 삭제 기술을 체험하는 듯한 몰입감을 주며,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했는데요. 특히 터치 가능한 인터랙션은 직관적이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서비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참여율을 높였습니다. 복잡하지 않은 구조와 명확한 플로우는 사용자가 터치할 때마다 데이터를 삭제하고 빠르게 핸드폰 거래를 완료하는 경험을 제공하며, 민팃의 핵심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전달했죠. 결과적으로 시각적 매력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 중심의 경험을 통해 민팃 서비스의 가치를 한층 더 강화한 프로모션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짧고 강렬한 숏폼 콘텐츠

<케이뱅크> SNS는 광고성 콘텐츠에 대한 피로도가 높은 2030 세대를 겨냥해 짧고 강렬한 숏폼 콘텐츠로 젊은 타깃층과 소통한 사례입니다. 금융 혜택을 단순 나열하는 대신, 공감과 재미 중심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연스럽게 잠재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고 참여율을 높였는데요. 전형적인 금융 콘텐츠의 딱딱한 이미지를 탈피해, 레시피 영상, 길거리 인터뷰 등 트렌디한 포맷을 도입함으로써 친근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를 전달했습니다. 특히 금융 정보를 일상적인 스토리로 풀어내는 방식이 소비자들에게 신선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는데요. 이러한 전략은 케이뱅크가 젊은 세대와의 거리감을 좁히고, 생활 속 금융 브랜드로서 더욱 친숙하게 느끼도록 하며 눈에 띄는 성과를 개선했습니다.

producing by n.wgleam film

>>케이뱅크 인스타그램 채널 바로가기

멀리서도 주목받는 옥외광고

<코오롱> OLO의 대형 옥외광고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해 공간감을 부여하며 소비자들에게 강렬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혜택을 가득 담은 선물 박스 컨셉의 비주얼에 고정 배너와 움직이는 영상을 조합해 시각적 임팩트와 메시지 전달을 동시에 달성했는데요. 이 영상은 멀리서도 주목할 수 있게 고정 배너의 안정감과 동적인 영상 요소를 적절히 결합하여 시각적 밸런스를 유지했습니다. 3D로 표현된 수많은 박스가 날아다니며 디스플레이를 채우는 장면을 통해, 광고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상자처럼 느껴지도록 연출한 것이죠. 다양한 디스플레이 형태에 최적화한 점도 특징인데요. 디스플레이의 각 면을 독립적으로 설계하고 해상도를 분리해, 두 메시지가 서로 간섭 없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정보 전달을 넘어 소비자에게 기억에 남는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한 사례였죠.



BAT의 최신 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